고활자본 본체의 형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21:49
본문
Download : 고활자본 본체의 형태 고찰.hwp
[고인쇄문화]고활자본 , 고활자본 본체의 형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이. 첫 권 제1장
고서의 첫째 권 제 1장은 가장 중요한 서지 기술(서지 기술)의 정보원(정보원)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고서의 …(省略)
고활자본 본체의 형태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 그러나, 거의 모든 책에 첫째권, 첫째 장은 있다아 그리고 권두 서명은 거의 모든 책에 있다아 그러므로, 한 책의 개별 식별화(개별 식별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요소, Element)라 하겠다.
다. 여기에는 권두 서명(권두 서명)이나 저작자 표시(저작자 표시)가 있으며, 또 소장자(소장자)의 장서인(장서인)이 찍혀 있는 경우가 있다아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 제1장의 판식(판식)의 비교를 통하여 연구하고 있다아 판식 기술(판식 기술)에서 판면(판면)의 기술(기술) 특히 판식(판식)의 기술은 판면의 전면(전면)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계측의 편의상 광곽(광곽)의 크기와 항자수(항자수)의 계수는 반엽(반엽)을 기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고활자본 본체의 형태 고찰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고인쇄文化]고활자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고활자본 본체의 형태 고찰.hwp( 45 )






고활자본 본체의 형태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 (서영 1 참조). 권두 서명은 권수제(권수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서를 보면 표제면(표제면)이 없는 책이 많다.
1. 권두 서명 = 권수제
<율곡선생전서(율곡선생전서)>의 경우와 같이, 고서의 본체를 보면, 첫째 권의 첫 장 앞면에는 권두 서명(권두 서명)이 가장 첫줄에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