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결혼과 가족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0:50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의 결혼과 가족제도.hwp
고려시대의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해 조사해 보았습니다. 고려시대결혼과가족제 , 고려시대의 결혼과 가족제도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고려시대의 결혼과 가족제도.hwp( 87 )
설명
고려시대결혼과가족제
레포트/인문사회
고려시대의 결혼과 가족제도
순서
1. 왕실의 결혼
1) 초기의 결혼 형태
- 34명 국왕의 왕비 135명. 1명이 대략 4명의 왕비. 비가 없는 국왕은 헌종, 충목왕, 충정왕, 창왕 등. 태조 29명.
- 태조 ; 후삼국 통일하기 전과 고려 건국 초기 : 지방 부유층이면서 유력층인 가문과 혼인.
; 후삼국 통합전쟁 단계 : 각 지방 무장층과 혼인. 제9비 태조 후삼국 정벌에 결정적인 도움을 준 유금필 딸. 제15, 16비는 경기도 광주의 무장세력으로 뒤에 혜종의 왕위를 위협하다 죽은 왕규의 딸들.
; 후삼국 통일 후 : 신라 왕족과 혼인
- 혜종 ; 왕규의 딸. 아버지와 부자간이면서 동서간.
- 정종 ; 견훤 사위인 박영규의 두 딸. 태조 역시 박영규의 딸을 제17비로. 또 아버지와 부자간이면서 동서간.
- 왕실 자체가 불안했기 때문에 지방 유력층과 혼인을 통해 왕실을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나온 특이한 혼인 형태.
2) 근친혼 관행의 등장
- 그러다가 점차 왕족이 늘어나자 이제는 왕족끼리 혼인을 통해 왕실의 권위와 경제적 기반을 지켜가려함. 광종 대부터 근친혼이 왕실 혼인의 관행으로 나타나게 된다 무인정권 전까지 거…(생략(省略))






다.,인문사회,레포트
고려시대의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해 조사해 보았습니다.